対訳
最近、あるスターバックスの売り場に張られた「カゴン族(カフェで勉強する人たち)」関連の案内文が注目を浴びている。4月23日、オンラインコミュニティーでは、ソウルのあるスターバックスの売り場に掲示された、売り場の利用案内文がシェアされた。この案内文には「30分以上、座席を空けた場合、パートナーが座席を整理することがあります。売り場の利用についてご参考までにお願いします」という内容が書かれていた。売り場側は「30分以上、座席が空いた状態で維持される場合(所持品は)売り場内の紛失物補完箱に保管される予定」と案内した。
최근 한 스타벅스 매장에 붙은 ‘카공족(카페에서 공부하는 사람들)’ 관련 안내문이 눈길을 끌고 있다. 23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서울의 한 스타벅스 매장에 게재된 매장 이용 안내문이 공유됐다. 이 안내문에는 “30분 이상 좌석을 비우실 경우 파트너가 자리를 정리할 수 있습니다. 매장 이용에 참고 부탁드립니다”라는 내용이 담겼다. 매장 측은 “30분 이상 좌석이 비워진 상태로 유지될 경우 (소지품은) 매장 내 분실 보관함에 보관될 예정”이라고 안내했다.
最近、カフェを長時間利用するカゴン族たちの間で席を空ける人たちが増え、このような特段の措置を打ち出したものとみられる。カフェに荷物を置いて外に食事しに出たり、個人の用事をすませて戻ってくる事例も多いという。
최근 카페를 장시간 이용하는 카공족들 중 자리를 비우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이 같은 특단의 조치를 내놓은 것으로 보인다. 카페에 짐을 두고 나가 밥을 먹거나, 개인 볼일을 본 뒤 돌아오는 사례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5/04/24/RBIXXYSR4REEDKMCHRKRRIVNM4/
昨年(2024年)慶尚北道安東市のあるスターバックスの売り場には、ある消費者がプリンターまで持ち込んで電気を利用して問題となった。SNSに投稿された写真には、A4用紙の束と一緒に各種書類が広げられていて、隣の座席にはプリンターが置かれていた。ケーブルまですべて連結された状態からして、実際に印刷までしたとみられる。こうしたことが横行したため、一部のカフェでは「電気泥棒」を防ぐために、最初からコンセントを使用できないようにする場所も出てきている。
지난해 경상북도 안동시의 한 스타벅스 매장에는 한 소비자가 프린터기까지 들고 와 전기를 이용해 논란이 된 바 있다. 당시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라온 사진에는 A4 용지 묶음과 함께 각종 서류가 펼쳐져 있고, 옆좌석에는 프린터가 놓여있었다. 케이블까지 모두 연결된 것으로 보아 실제 출력까지 한 것으로 보인다.이런 일들이 횡행하자 일부 카페에서는 ‘전기 도둑’을 막기 위해 아예 콘센트를 사용하지 못하게 막아두는 곳도 생겨나고 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312627
(2024年)4月にもあるスターバックスの売り場で、ある客が二つのテーブルにノートPCとオフィス用モニターを持ち込んで作業する様子が見つけられ、問題となった。当時、この客はタコ足コンセントまでつないで電気を使用していた。
지난 4월에도 국내 한 스타벅스 매장에서 한 손님이 두 테이블에 노트북과 사무용 모니터를 올려두고 작업하는 모습이 포착돼 논란이 된 바 있다. 당시 이 손님은 멀티탭까지 연결해 전기를 사용했다.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41122/130482439/2
2019年8月、韓国外食産業研究院が発表した資料によれば、4100ウォンのコーヒーを買った客の損益分岐点は1時間42分と確認された。個人経営のカフェの平均的な売り上げの、8テーブル、テイクアウト比率29%、1日12時間営業する店だと仮定しての時間だ。しかし2017年、大学の明日20代研究所が大学生300人を対象にカフェについての認識を調査した結果、「カフェ1杯(4100ウォン)注文時、カフェにいられる適正時間」という質問に34.7%が「2~3時間」と答えた。大学生の相当数が損益分岐点より長い時間、カフェにとどまるということだ。
지난 8월 한국외식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4,100원짜리 커피를 구매한 고객의 손익분기점은 1시간42분인 것으로 확인됐다. 개인카페 평균 매출 기준 8개 테이블, 테이크아웃 비율 29%, 하루 12시간 영업하는 가게라고 가정한 시간이다. 그러나 2017년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카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커피 한 잔(4,000원 기준) 주문 시 카페에 머물 수 있는 적정 시간’이라는 질문에 34.7%가 ‘2~3시간’이라고 응답했다. 대학생 상당수가 손익분기점보다 오랜 시간 카페에 머문다는 뜻이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19100600102278337
コメン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