対訳
最近、KBS1TV「追跡60分」では、「7歳試験、誰のための試験か」編が放送された。「7歳試験」とは小学校入学を控えた満5、6歳の子どもたちが、いわゆるビッグ3、ビッグ10と呼ばれる有名英語塾に入るために受ける試験だ。
최근 KBS 1TV ‘추적60분’에서는 ‘7세 고시, 누구를 위한 시험인가’ 편이 전파를 탔다. ‘7세 고시’는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만 5, 6세 아이들이 일명 빅3, 빅10으로 불리는 유명 영어학원에 들어가기 위해 보는 시험이다.
かつてはソウルの一部地域だけで使う言葉だったが、現在は韓国全域で流行のように広がっている。そこに「もう7歳でも遅すぎる」という認識が広がり「4歳試験」という言葉まで登場している。
한때는 서울 일부 지역에서만 쓰는 말이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전역에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거기에 ‘이제 7세도 너무 늦다’란 인식이 퍼지며 ‘4세 고시’란 말까지 등장하고 있다.
「7歳試験」の試験難易度はどれくらいだろうか? ある塾の模擬試験用紙は、A41枚の分量に長い文章数個を読んで、30数個の設問に答える形式で構成されている。該当の問題を読んだ29年目の英語教師キム・ヒョンさんは「(英語)問題の形式は大学入試問題のようだ」として「満5歳の子どもに推論を問うている。これは知的虐待に至る水準だと思う」と指摘した。
7세 고시’의 시험 난이도는 어느 정도일까? 한 사설학원의 모의고사 시험지는 A4용지 한 페이지 분량의 긴 지문 여러 개를 읽고 30여개의 지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구성돼 있었다. 해당 문제를 살펴본 29년차 영어교사인 김현씨는 “(영어)문제유형은 수능시험 문제와 같다”며 “만 5세 아이들에게 추론을 물어보고 있다. 이건 지적인 학대에 이르는 수준이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929446642071832&mediaCodeNo=257
ソウル・大峙洞のミドアパートに住む6歳のA君の1日は、毎日朝8時から息をつく暇も無く回っていく。朝は英語アニメや童謡を聞いて登校準備をする。シャトルバスに乗って9時までに英語幼稚園に登校し、午後3時までネイティブの先生と過ごす。午後3時30分、専門の保母が下校を手伝う。家でおやつを食べ、家の近所にあるピアノ塾と水泳教室に交代で通う。午後5時に家に帰ると、夕食前まで幼稚園の宿題や数学の演算問題用紙を解く。
서울 대치동 미도아파트에 거주하는 6세 A군의 하루는 매일 오전 8시부터 숨 가쁘게 돌아간다. 아침에는 영어 애니메이션이나 동요를 들으며 등교 준비를 한다. 셔틀버스를 타고 9시까지 영어유치원에 등교하고 오후 3시까지 원어민 선생님과 지낸다. 오후 3시 30분. 전문 보모가 하교를 돕는다. 집에서 간식을 먹고 집 근처에 위치한 피아노 학원과 수영 교실을 번갈아 다닌다. 오후 5시께 집에 돌아오면, 저녁 식사 전까지 유치원 숙제나 수학 연산 학습지를 한다.
夕食後には家庭教師の先生が訪れる。英語会話の授業やハングル、数学の先生が週1~2回ずつ来るのだ。週1回、夜や週末には思考力数学塾に通う。毎日、寝る前30分にハングルの本の読書も忘れない。就寝時間も成長にいいという理由で午後10時前に厳格に定められている。
저녁 식사 이후에는 과외 선생님이 방문한다. 영어 회화 수업이나 한글·수학 학습지 선생님이 주 1~2회씩 오는 식이다. 주 1회 저녁 시간이나 주말에는 사고력 수학학원에 다닌다. 매일 자기 전 30분 한글 책 독서도 놓치지 않는다. 취침 시간도 성장에 좋다는 이유로 오후 10시 이전으로 엄격하게 정해져 있다.
大峙洞の未就学児の父母たちは、なぜ英語教育に没頭するのか。逆説的に「数学のため」と答えた父母が多かった。名門大学、医学部の入試において難関は数学なので、後で数学を勉強する時間を稼ぐために、英語だけでも早くやっておけばいいという説明だ。大学入試まで見据えて英語幼稚園に通っているのだ。
대치동 미취학 아동 학부모들은 왜 영어교육에 몰두할까. 역설적으로 “수학 때문”이라고 답한 부모가 많다. 명문대, 의대 입시에서 관건은 수학이니 나중에 수학 공부할 시간을 벌기 위해 영어라도 미리 해두면 좋다는 설명이다. 대학 입시까지 내다보고 영어유치원을 다니는 셈이다.
課外教育を受ける生徒と、そうでない生徒の格差も広がっている。国会教育委員会カン・ドゥック共に民主党議員によれば、2024年度に医学部に入学した4人に1人は江南3区(江南区・瑞草区・松坡区)出身だった。うち江南区1箇所だけで全体の医学部入学生の20%を排出した。
사교육을 받는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사이의 격차도 심화하고 있다. 국회 교육위원회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2024학년도 의과대학 입학생 중 네 명 중 한 명은 강남 3구(강남구·서초구·송파구) 출신이었다. 그 중 강남구 한 곳에서만 전체 의대 입학생의 20%가 배출됐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4053012i
ちょっと用語解説
대치동【大峙洞】
ご存じソウル・江南区の高級住宅街。学習塾や予備校が集結していることでも有名で、いつからか「私教育」(学校以外の課外教育)の代名詞ともなりました。
고시【考試】
司法考試(司法試験)、行政考試(上級国家公務員試験)など、特に難関として知られる試験のことを指します。かつてマスコミ就職の人気が高かった頃は、新聞やテレビ局の入社試験を言論考試(언론고시)と呼んだ時代もありました。ここでは7歳や4歳を対象にした英語塾の入塾試験が難関化していることを指して「考試」と読んでいます。
コメント